Flask로 간단한 카카오톡 챗봇 구현하기
이번에는 Python 기반 프레임워크인 Flask를 통해 간단한 카카오톡 챗봇을 구현하려 한다.
시작하기에 앞서
왜 굳이 같은 Python 기반 프레임워크인 Django 대신 Flask를 쓰지? 라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 Flask를 사용하는 이유는 우선 Django가 웹 개발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지원하는 풀스택 프레임워크라는 점에 있다.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의 경우, 카카오톡에서 프론트 엔드 기능을 대신 구현해 놨기에 간단하게 백엔드만 구현하면 되는데, Django는 초기 세팅을 할 요소들이 많아 빠르게 서비스를 구현하기가 어려워 Flask를 선택하게 됐다.
또한 이 포스트는 최대한 간단한 기능의 챗봇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그에 필요한 최소한의 사전 지식은 알아둘 필요가 있기에 다음 포스트들을 미리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1) AWS 서버
2) 파이썬
1. 챗봇 작동 원리
카카오톡 챗봇의 개발 과정 및 작동 원리는 프론트 엔드만 제외하면 웹과 동일하다.
플러스 친구는 프론트 엔드를 카카오톡 어플로 구현했기 때문에 백엔드 파트만 개발하면 된다.
사용자는 카카오톡을 통해 플러스 친구에 메시지 전달 시, 플러스 친구는 등록된 AWS 서버에 해당 메시지를 전달한다.
전달된 메시지는 서버 내 로직에 의해 처리되어 결과를 플러스 친구에 반환한다.
플러스 친구는 반환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반환한다.
2.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만들기
1)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접속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에 들어가 플러스친구 만들기를 클릭한 뒤 카카오 ID로 로그인한다.
2) 플러스친구 개설하기
다음과 같이 챗봇의 이름과 정보 등을 입력한다.
3) 추가 정보 수정하기
관리 -> 상세설정 에 들어가 다음과 같이 설정을 바꾼다.
4) 스마트채팅 설정하기
스마트채팅에 들어가 내 AWS 서버의 DNS 주소와 포트를 등록할 수 있다.
우리는 아직 챗봇을 구현하지 않기에 API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다. 이제 챗봇을 만들어 보자!
3. Flask로 챗봇 만들기
1) 챗봇 코드 작성하기
아톰이나 다른 오프라인 에디터를 실행해 아래 코드를 작성한 뒤, pangpang2.py라는 이름으로 저장하자.
더보기
접기 # -*- coding: utf-8 -*- #--------------------------------- # pangpang2.py #--------------------------------- import os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app = Flask(__name__) @app.route('/keyboard') def Keyboard(): dataSend = { "type" : "buttons", "buttons" : ["팡팡이와 대화하기!", "도움말"] } return jsonify(dataSend) @app.route('/message', methods=['POST']) def Message(): dataReceive = request.get_json() content = dataReceive['content'] if content == u"팡팡이와 대화하기!": dataSend = { "message": { "text": "팡팡이 명령어 목록!
1. 도움말
2. 안녕!
3. 저기요~" } } elif content == u"도움말": dataSend = { "message": { "text": "이제 곧 정식 버전이 출시될거야. 조금만 기다려~~~" } } elif u"안녕" in content: dataSend = { "message": { "text": "안녕~~ 반가워 ㅎㅎ" } } elif u"저기" in content: dataSend = { "message": { "text": "볼일 끝났으면 썩 꺼져!" } } else: dataSend = { "message": { "text": content } } return jsonify(dataSend) if __name__ == "__main__": app.run(host='0.0.0.0', port = 6000) 접기
위 코드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app.route('/keyboard')
위 부분은 http://(서버 DNS 주소)/keyboard 로 서버에 GET 요청이 들어오면 바로 아래 함수를 실행하는 문장이다.
app.run(host='0.0.0.0', port = 5000)
이 부분은 서버 내부의 0.0.0.0 주소의 5000번 포트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겠다는 문장이다.
2) 서버에 코드 업로드하기
코드 작성이 완료됐으니, 서버에 해당 코드를 업로드 해보자. 우선 GitKraken을 이용해 GitHub에 해당 코드를 업로드하자. 그 뒤 putty를 이용해 사전에 생성한 AWS 서버에 접속해 GitHub에서 프로젝트를 clone 받는다.
3) 서버에서 프로그램 실행하기
업로드 된 flask 프로젝트를 실행시키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 flask를 설치하자. 이때 가상환경 꼭꼭 실행하자. 관련 링크는 포스트 맨 위에 있다.
$pip install --upgrade pip $pip install flask
서버에서 Flask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 코드에서 내부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미리 지정하는 방법
우리는 앞선 코드의 맨 아래 줄에서 IP주소와 포트 번호를 지정했기에, 다음 명령어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nohup python pangpang2.py
두 번째, 프로그램 실행 시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인자로 입력하는 방법
실행에 앞서 다음 명령어로 초기 설정을 해준다.
$export FLASK_APP=pangpang2.py
소스 코드의 수정 또한 필요하다. pangpang2.py 파일의 맨 끝 문장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app.run(host='0.0.0.0', port = 5000) -> app.run()
이제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nohup flask run -h 0.0.0.0 -p 7000
이 방법은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매번 인자로 넘겨줘야 해서 조금 번거롭지만, 테스트용으로 같은 버전의 여러 챗봇을 동시에 운영해야할 때에 유용하다.
4. 플러스친구에 서버 연동하기
이제 플러스 친구에서 스마트 채팅에 다음과 같이 앱 URL (DNS 주소)를 등록하고 API 테스트를 거치면 챗봇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뒤에 반드시 포트 번호도 적어주자.
플러스친구가 완성되었다! 카카오톡 친구 검색에서 내 플러스친구 이름을 검색해 친구 추가를 해보자~
참고 사이트
from http://cupjoo.tistory.com/5 by ccl(A) rewrite - 2020-03-06 11:54:18
댓글
댓글 쓰기